페이지가 로드되지 않나요? 여기를 눌러보면 고쳐질 수도 있어요.
Placeholder

#3231

물탱크 2초 512MB

문제

세로 길이가 N, 가로 길이가 M, 높이가 H인 물탱크가 있다. N, M, H는 모두 양의 정수이다. 

<그림 1>은 세로 길이가 2, 가로 길이가 3, 높이가 5인 물탱크 모양을 보여준다. 

<그림 1>에서 보듯이 물탱크 내부는 가로와 세로로 벽이 설치되어 있는데, 

내부 각 칸(즉 사각기둥 모양)의 세로와 가로 길이는 1이고 높이는 H가 되도록 벽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물탱크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그림 2>와 같이 각 칸이 정사각형인 격자 모양이 된다. 

물탱크 각 칸의 벽에는 물 높이 조정을 위해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각 칸에는 네 개의 벽이 있는데, 각 벽 내부에는 최대 한 개의 구멍이 뚫려 있을 수 있다. 

단, 모서리엔 구멍이 없다.

 


<그림 1>에서 구멍이 있는 높이는 바닥을 기준으로 표시되어 있다. 

구멍의 위치를 위에서 보면 <그림 2>처럼 보이는데 이는 물탱크를 위에서 보았을때 어느 벽, 

어떤 높이에 구멍이 뚫려 있는지를 알려주며, <그림 1>에선 표시하기 어려운 물탱크의 구멍 위치도 표시한다. 

<그림 2>에서 보듯이 물탱크 내부 벽에도 구멍이 있을 수 있다.


물탱크에 물을 채울 땐, 모든 구멍을 마개로 막아 물이 새지 못하도록 한 후,

격자의 각 칸 위에 설치된 급수 장치를 통해 물탱크 전체를 물로 채운다.

물이 꽉 찬 후에 구멍을 막고 있는 모든 마개를 제거하면 물이 구멍을 통해 인접한 방이나 외부로 흘러나가게 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물이 더 이상 흘러 나가지 않게 되고, 그 때 물탱크 격자의 각 칸에 남아 있는 물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참고로, <그림 2>에서 보인 물탱크의 각 칸에 남아 있는 물의 높이를 나타내면 <그림 3>의 괄호 속의 수치와 같다.


벽의 두께를 무시할 때, 물탱크에 남아있는 물의 총량(부피)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소스파일의 이름은 watertank.c 또는 watertank.cpp를 권장하지만, 서버에 제출하는 데는 다른 이름도 상관없다.

 


입력

표준 입력으로 다음 정보가 주어진다.

첫 번째줄에는 물탱크의 세로 길이, 가로 길이, 높이를 나타내는 세 양의 정수 N, M, H가 차례로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첫 번째 가로 벽에 설치된 구멍 정보를 나타내는 M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각 정수는 왼쪽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각 칸의 구멍 높이를 의미한다. 

  구멍의 높이는 0 이상 H미만의 정수이다. 해당 벽에 구멍이 없는 경우는 –1로 표시한다. 

 

이어지는 줄엔 두 번째 가로 벽에 설치된 구멍 정보가 주어지고, 

  이런 식으로 N+1줄에 걸쳐 가로 벽에 설치된 모든 구멍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 

 

이어지는 줄에는 첫 번째 가로 벽을 공유하는 칸들(<그림 2>에서 맨 윗줄의 칸들)의 세로 벽에 설치된 구멍 정보를 나타내는 M + 1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각 정수는 첫 번째 세로 벽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각 세로 벽의 구멍 높이를 나타낸다. 

 

그 다음 줄에는 그 다음에 있는 칸들의 세로벽에 설치된 구멍 정보가 주어진다. 

  이런 식으로 N 줄에 걸쳐 세로 벽에 설치된 모든 구멍 정보가 주어진다. 

 

참고로, 입출력 예에서 보인 첫 번째 예제는 <그림 2>에서 보인 경우에 대응된다.


출력

물이 더 이상 흘러 나가지 않는 시점에 물탱크에 남아 있는 물의 총량(부피)을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

[부분문제의 제약 조건]

* 부분문제 1: 전체 점수 100점 중 6점에 해당하며 N = 1, 1 ≤ M, H ≤ 1,000 이고, 세로 벽에는 구멍이 없다. 

               즉, 물탱크 세로 벽에 대응하는 구멍의 입력은 모두 –1 이다. 

* 부분문제 2: 전체 점수 100점 중 18점에 해당하며 N = 1 , 1 ≤ M, H ≤ 1,000 ​ 이다. 

* 부분문제 3: 전체 점수 100점 중 15점에 해당하며 H = 1, 1 ≤ N, M ≤ 1,000​ ​ 이다. 

* 부분문제 4: 전체 점수 100점 중 21점에 해당하며 1 ≤ H ≤ 1,000​, 1 ≤ N, M ≤ 50 ​이다. 

* 부분문제 5: 전체 점수 100점 중 40점에 해당하며 1 ≤ N, M, H ≤ 1,000 ​ 이다.


예제1

입력
235

1-1-1
32-1
4-12
-1-143
-1-1-1-1
출력
17

예제2

입력
1510

5-1-1-16
-17-16-1
-128423
출력
20

출처

KOI 전국 2018 초4/중3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