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K미술관은 많은 벽으로 구성된 특이한 구조를 가진 건축물로 유명하다.
미술관의 내부 조명을 위해서 두 개의 전등이 한 쪽 벽의 양 끝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데, 건물의 내부에 조명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즉, 건물 내부의 모든 장소는 적어도 하나의 전등으로부터 조명을 받을 수 있다.
정보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홍길동은 이 미술관 건물을 좋아해서 시간이 날 때마다 관람하러 온다.
하루는 미술관을 관람하던 중에 갑자기 “미술관 내부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최단 경로는 어떤 모양일까?”라는 의문점이 떠올랐다.
일반적인 다각형에서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데 힘들었던 기억을 되살리면서, 두 개의 전등으로 모든 곳을 비출 수 있는 미술관의 특이한 구조 때문에 최단 경로를 쉽게 구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미술관을
정점 리스트는 다각형의 경계선을 반시계방향으로 따라가면서 정점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미술관에서 전등이 설치된 장소를 정점
미술관 내부의 어떤 장소
그림 1의 다각형에서 정점
나머지 정점들은
두 정점 사이의 최단 경로가 항상 다각형의 정점에서만 꺾인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두 정점
![](https://u.jungol.co.kr/problem/2917/e22885ec-b9b7-439d-81b4-5ad5351ae331.png)
홍길동을 도와서 다각형
입력
다음 정보가 표준 입력으로 주어진다. 첫 째 줄에 다각형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좌표는
마지막 줄에는 최단 경로를 구하려고 하는 두 정점
출력
다음 정보를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
입력으로 주어진 두 정점
여기서
첫째 줄에
부분문제
번호 | 점수 | 조건 |
---|---|---|
#1 | 22점 | |
#2 | 29점 | |
#3 | 13점 | |
#4 | 16점 | |
#5 | 20점 | 원래의 제약조건 이외의 아무 제약 조건이 없다. |
예제1
14
5 2
9 2
9 3
12 5
12 8
9 6
8 8
7 8
6 9
6 6
2 9
1 7
3 5
2 4
4 11
4
4 5 9 11
예제2
9
4 2
10 2
12 5
8 4
9 7
6 7
4 5
3 6
2 6
5 2
3
5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