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k명의 참가자들이 사다리 타기를 통하여 어떤 순서를 결정한다.
참가자들은 알파벳 대문자 첫 k개로 표현되며, 사다리 타기를 시작할 때의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항상 알파벳 순서대로이다.
k=10 인 예를 들어 보자. 10명의 A, B, C, D, E, F, G, H, I, J 참가자들이 사다리 타기를 준비한다.
아래 그림은 10개의 세로 줄과 5개의 가로 줄을 가지고 있는 사다리의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260b82e943a55510bf39fa4d60fd107a_1456284579_6314.gif](https://u.jungol.co.kr/problem/2299/a6ab3a7f-1af0-4439-b78c-9f74816443d6.gif)
이 사다리에서 점선은 가로 막대가 없음을, 굵은 가로 실선은 옆으로 건너갈 수 있는 가로 막대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위에 제시된 사다리를 타면 그 최종 도달된 순서는 왼쪽으로부터 A, C, G, B, E, D, J, F, I, H 가 된다.
사다리 타기는 세로 막대를 타고 내려오는 중에 가로막대를 만나면 그 쪽으로 옮겨 가면서 끝까지 내려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다리 타기의 규칙 특성상 아래 그림과 같이 두 가로 막대가 직접 연결될 수는 없으므로 이 상황은 이 문제에서 고려할 필요가 없다.
![260b82e943a55510bf39fa4d60fd107a_1456284648_6474.gif](https://u.jungol.co.kr/problem/2299/91abab6b-4a80-4bcc-b81f-1fb3f8328ad1.gif)
우리는 하나의 가로 줄이 감추어진 사다리를 받아서 그 줄의 각 칸에 가로 막대를 적절히 넣어서
참가자들의 최종 순서가 원하는 순서대로 나오도록 만들려고 한다.
입력에서 사다리의 전체 모양은 각 줄에 있는 가로 막대의 유무로 표현된다.
각 줄에서 가로 막대가 없는 경우에는 '*'(별)문자, 있을 경우에는 '-'(빼기) 문자로 표시된다.
그리고 감추어진 특정 가로 줄은 길이 k-1인 '?' (물음표) 문자열로 표시되어 있다.
입력
입력 파일의 첫 줄에는 참가한 사람의 수 k가 나온다(3≤k≤26).
그 다음 줄에는 가로 막대가 놓일 전체 가로 줄의 수를 나타내는 n이 나온다(3≤n≤1,000).
그리고 세 번째 줄에는 사다리를 타고 난 후 결정된 참가자들의 최종 순서가 길이 k인 대문자 문자열로 들어온다.
k 와 n, 그리고 도착순서 문자열이 나타난 다음,
이어지는 n개의 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 '-' 문자로 이루어진 길이 k-1인 문자열이 주어진다.
그 중 감추어진 가로 줄은 길이가 k-1인 '?' 문자열로 표시되어 있다.
출력
여러분은 입력 파일 세 번째 줄에서 지정한 도착순서가 해당 사다리에서 만들어질 수 있도록 감추어진 가로 줄을 구성해야 한다.
여러분은 감추어진 가로 줄의 상태를 재구성하여 이를 '*'(별) 문자와 '-'(빼기) 문자로 구성된 길이 k-1인 문자열로 만들어 출력한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그 감추어진 가로 줄을 어떻게 구성해도 원하는 순서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x'(소문자 엑스)로 구성된 길이 k-1인 문자열을 출력해야 한다.
이 경우는 아래 두 번째 입출력의 예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예제1
10
5
ACGBEDJFIH
*-***-***
-*-******
?????????
-**-***-*
**-*-*-*-
**-*-***-
예제2
11
5
CGBEDJFKIHA
*-***-****
-*-******-
??????????
-**-***-*-
**-*-*-*-*
xxxxxxxx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