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현수가 본 역사 수행평가는 몇 개의 역사적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시험으로 이루어졌다. 그 시험의 답은 아래와 같다. 1. 태조 즉위 / 2. 정종 즉위 / 3. 태종 즉위 / 4. 세종 즉위 / 5. 문종 즉위
현수는 나머지 네 왕이 언제 즉위했는지는 정확히 알고 있었지만 태조가 언제 즉위했는지는 잘 몰랐기 때문에 '태조 즉위’를 아무 곳이나 끼워 넣어서 아래와 같은 답안을 작성했다. 1. 정종 즉위 / 2. 태종 즉위 / 3. 세종 즉위 / 4. 문종 즉위 / 5. 태조 즉위
현수의 답은 정답과 일치하는 곳이 한 군데도 없어서 이 문제에 대하여 0점을 맞았다. 0점을 맞은 것에 대하여 억울함을 느낀 현수는 선생님에게 점수를 매기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 임의의 두 사건을 선택해서, 그 순서를 정확하게 적었으면 1점을 얻고, 그렇지 못했으면 0점을 얻는다. 이런 방식으로 점수를 매긴다면, 만점은 10 (=5×4/2)점이 된다.
역사 수행평가의 정답과 현수가 작성한 답안이 주어질 때, 현수의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역사적 사건의 수 N이 주어진다. (2 ≤ N ≤ 2,500) 두 번째 줄에는 정답을 나타내는 각 사건이 주어진다. 세 번째 줄에는 현수가 작성한 답안이 주어진다. 단, 역사적 사건은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길이 3 이상 15 이하의 문자열을 나타낸다.
출력
새로운 방식으로 매긴 현수의 점수를 “점수/만점” 형식으로 출력한다. 약분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예제1
입력
3
alpha beta gamma
alpha gamma beta
출력
2/3
힌트
출처
COCI 2012/2013 contest 3 task 2 Pored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