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경비행기 독수리호가 출발지 S에서 목적지 T로 가능한 빠른 속도로 안전하게 이동하고자 한다.
이때, 경비행기의 연료통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큰 연료통을 장착하면 중간에 내려서 급유를 받는 횟수가 적은 장점이 있지만
연료통의 무게로 인하여 속도가 느려지고,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작은 연료통을 장착하면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지만
중간에 내려서 급유를 받아야 하는 횟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문제는 중간에 내려서 급유를 받는 횟수가 k이하 일 때 연료통의 최소용량을 구하는 것이다.
아래 예를 보자.
![](https://u.jungol.co.kr/problem/1603/da0c6654-40d0-45d1-a35a-af2c917c15e7.png)
위 그림은 S, T와 7개의 중간 비행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그림이다.
위 예제에서 중간급유를 위한 착륙 허용 최대횟수 k=2라면
S-a-b-T로 가는 항로가 S-p-q-T로 가는 항로 보다 연료통이 작게 된다.
왜냐하면, S-p-q-T항로에서 q-T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이 구간을 위해서 상당히 큰 연료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와 같이 중간에 최대 K번 내려서 갈 수 있을 때 최소 연료통의 크기가 얼마인지를 결정하여 출력하면 된다.
참고사항은 다음과 같다.
a) 모든 비행기는 두 지점 사이를 반드시 직선으로 날아간다. 거리의 단위는 ㎞이고 연료의 단위는 ℓ(리터)이다. 1ℓ당 비행거리는 10㎞이고 연료주입은 ℓ단위로 한다.
b) 두 위치간의 거리는 평면상의 거리이다.
![](https://u.jungol.co.kr/problem/1603/0e57cdd8-92bd-4b9c-addd-2ec35bf98731.png)
50< d(g,h) ≤ 60 이므로 필요한 연료는 6ℓ가 된다.
c) 출발지 S의 좌표는 항상 (0,0)이고 목적지 T의 좌표는 (10000,10000)으로 모든 입력 데이터에서 고정되어 있다.
d) 출발지와 목적지를 제외한 비행장의 수 n은 3≤n≤1000이고 그 좌표 값 (x,y)의 범위는 0<x,y<10000의 정수이다.
그리고 최대 허용 중간급유 횟수 k는 0≤k≤1000이다.
입력
입력 파일의 첫 줄에는 n과 k가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비행장 (급유지)의 정수 좌표가 x y 형식으로 주어진다.
출력
출력 파일에는 S에서 T까지 k번 이하로 중간급유하여 갈 수 있는 항로에서의 최소 연료통 용량에 해당되는 정수를 출력한다.
예제1
101
10 1000
20 1000
30 1000
40 1000
5000 5000
1000 60
1000 70
1000 80
1000 90
7000 7000
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