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큐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출력된다.
이러한 구조를 선입선출(FIFO - First In First Out)이라고 한다.
이러한 큐 자료구조는 보통 우리의 생활에서는 매우 일상적인 자료구조이다.
큐 자료구조의 형태를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게 “줄서기”가 될 것이다.
은행 창구에서 줄을 서거나, 버스를 기다리기 위해서 줄을 설 경우 가장 먼저 줄을 선 사람이 가장 먼저 은행 업무를 처리하거나,
버스를 타게 된다. (새치기 하는 경우는 생각하지 말자.)
그림과 같은 큐 자료구조를 설계하고, 처리조건에 맞게 출력해보자.
![](https://u.jungol.co.kr/problem/1697/e54df929-029c-49ca-abfe-d5bd3938e1a4.png)
≪처리조건≫
주어지는 명령은 다음의 3가지이다.
"i a"는 a라는 수를 큐에 넣는다. 이때, a는 1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o"는 큐에서 데이터를 빼고, 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만약 큐가 비어있으면, "empty"를 출력한다.
"c"는 큐에 있는 데이터의 수를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주어지는 명령어의 수이다. (1 ≤ N ≤ 100)
둘째 줄부터 N+1줄까지 한 줄에 하나씩 명령이 주어진다.
출력
각 명령에 대한 출력 값을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출력 내용이 하나도 없는 경우는 주어지지 않는다.
예제1
입력
7
i 7
i 5
c
o
o
o
c
출력
2
7
5
empty
0
출처
JUNG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