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가 로드되지 않나요? 여기를 눌러보면 고쳐질 수도 있어요.
Placeholder

#1603

경비행기 1초 128MB

문제

경비행기 독수리호가 출발지 S에서 목적지 T로 가능한 빠른 속도로 안전하게 이동하고자 한다. 

이때, 경비행기의 연료통의 크기를 정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큰 연료통을 장착하면 중간에 내려서 급유를 받는 횟수가 적은 장점이 있지만 

연료통의 무게로 인하여 속도가 느려지고,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작은 연료통을 장착하면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지만 

중간에 내려서 급유를 받아야 하는 횟수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문제는 중간에 내려서 급유를 받는 횟수가 k이하 일 때 연료통의 최소용량을 구하는 것이다.

아래 예를 보자. 

위 그림은 S, T와 7개의 중간 비행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그림이다. 

위 예제에서 중간급유를 위한 착륙 허용 최대횟수 k=2라면

S-a-b-T로 가는 항로가 S-p-q-T로 가는 항로 보다 연료통이 작게 된다. 

왜냐하면, S-p-q-T항로에서 q-T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이 구간을 위해서 상당히 큰 연료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와 같이 중간에 최대 K번 내려서 갈 수 있을 때 최소 연료통의 크기가 얼마인지를 결정하여 출력하면 된다. 

참고사항은 다음과 같다.

a) 모든 비행기는 두 지점 사이를 반드시 직선으로 날아간다. 거리의 단위는 ㎞이고 연료의 단위는 ℓ(리터)이다. 1ℓ당 비행거리는 10㎞이고 연료주입은 ℓ단위로 한다.

b) 두 위치간의 거리는 평면상의 거리이다. 

    50< d(g,h) ≤ 60 이므로 필요한 연료는 6ℓ가 된다.

c) 출발지 S의 좌표는 항상 (0,0)이고 목적지 T의 좌표는 (10000,10000)으로 모든 입력 데이터에서 고정되어 있다.

d) 출발지와 목적지를 제외한 비행장의 수 n은 3≤n≤1000이고 그 좌표 값 (x,y)의 범위는 0<x,y<10000의 정수이다. 

   그리고 최대 허용 중간급유 횟수 k는 0≤k≤1000이다.


입력

입력 파일의 첫 줄에는 n과 k가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비행장 (급유지)의 정수 좌표가 x y 형식으로 주어진다.


출력

출력 파일에는 S에서 T까지 k번 이하로 중간급유하여 갈 수 있는 항로에서의 최소 연료통 용량에 해당되는 정수를 출력한다.


예제1

입력
101

101000
201000
301000
401000
50005000
100060
100070
100080
100090
70007000
출력
708

태그


출처

KOI 전국 2005 고2

역링크 공식 문제집만